목표 달성 시, 국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하락할 듯

국내 5대 시중은행 사옥. 사진. 각 사.
국내 5대 시중은행 사옥. 사진. 각 사.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국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을 전년 말 대비 1.5%~2%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가계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범위내에서 관리하겠다는 금융당국의 방침에 화답한 셈인데, 당국이 밝힌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목표치 달성 시점이 빨라질지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국내 5대 금융지주는 지난 10일 진행된 관계부처 합동 ‘가계부채 현황 점검회의’에서 이같은 가계부채 증가율 관리 계획을 보고했다.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전년 말 잔액 대비 1.5%~2% 수준으로 관리하겠다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5대 금융지주의 은행 계열사 5곳이 공급한 가계대출 잔액은 약 692조원이다. 1.5%~2%의 성장률 목표치를 고려하면 올해 5대 시중은행이 목표로 하는 가계대출 공급규모는 약 10조3000억원 수준이다.

만약, 해당 목표치가 현실화된다면, 국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100%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사진=DB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사진=DB

실제로 한국은행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0.8%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경상성장률 전망치(4.9%), 그리고 2% 이하의 가계부채 증가율을 비교해 단순 계산하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또한 100%대 이하로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올해 정부에서 출시 예정인 각종 부동산 관련 모기지 상품 흥행 여부가 가계대출 관리 성공의 변수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미 지난해 대출 폭증의 주범으로 지목된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등 정책모기지의 영향력이 입증된 만큼, 수요가 몰릴 시 대출 관리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이밖에 꾸준히 수요가 늘고 있는 주담대 대환대출 서비스, 이에 따르는 은행 간 금리 경쟁 역시 가계대출 증가세의 변수로 될 수 있다”며 “건전성 관리와 함께 꼭 필요한 곳에는 대출 공급을 꾸준히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