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회장과 판박이 행보…한국 사업 합류할 듯

선택적 병역 의무 가능하지만…귀화 움직임 없어

'귀화자 병역 필요하다'는 국민적 의견 70% 달해

국내 재계 주요그룹 차기 총수임에도 병역 논란 우려

롯데가 ‘청춘책방’을 통해 국군장병들의 자기개발을 돕고 있다. 사진. 롯데지주
롯데가 ‘청춘책방’을 통해 국군장병들의 자기개발을 돕고 있다. 사진. 롯데지주

[데일리임팩트 최진호 기자] 롯데그룹 오너 3세 신유열(일본이름 시게미츠 사토시) 상무가 신동빈 회장과의 판박이 행보를 이어가면서 롯데그룹 경영 승계에 속도가 붙고 있다.

5일 재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어느 때보다 임원 인사에 보다 신중을 가하고 있는 모양새다. 롯데건설에서 촉발된 유동성 위기 등으로 악재가 겹친 탓이다. 이런 가운데 경영 승계의 포석을 깔기 시작해 잡음 없이 신 상무로의 이양 방안을 고심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재계에서는 이번 인사를 기점으로 경영 승계에 드라이브를 걸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신유열 상무의 대외행보가 넓어지고 있어서다.

지금껏 그는 부친인 신동빈 회장을 연상케 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 상무는 게이오대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 MBA 과정을 거쳐 2008년 노무라증권에 입사했다. 이후 일본 롯데, 롯데홀딩스를 거쳐 지난해 롯데상사 영업전략부로 자리를 옮겼다. 최근엔 롯데케미칼 비상근 임원으로 옮겨 기초소재 동경지사 영업과 신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앞서 신동빈 회장도 일본에서 대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 MBA 과정을 거쳐 1982년 노무라증권에 입사했다. 이후 일본 롯데상사에 합류해 일본 롯데, 세븐일레븐 대표 등을 거친 뒤 2000년 롯데닷컴 부회장, 2011년 롯데그룹 회장에 올랐다. 

신 상무가 신 회장과 유사한 행보를 보이면서 조만간 한국 사업에서도 중량감 있는 역할을 맡길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신 회장이 한국 사업을 위해 일본 국적을 포기했던 것처럼 한국인으로 귀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롯데그룹은 일본보다는 한국에서의 사업 규모가 월등히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롯데그룹은 일본 불매운동 당시 매운맛을 봤던 터다. '롯데그룹=한국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신 상무의 귀화는 필수적이다. 

신 상무는 롯데그룹 지분을 일체 보유하고 있은 데다 한국어 능력을 함양해야 하는 만큼, 귀화까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다만 재계에서는 특정 나이가 지나야 귀화 작업에 나설 것으로 본다. 만 38세 이전에 귀화하면 병역 의무가 생겨서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일본명 시게미쓰 사토시). 사진. 시게미쓰 사토시 페이스북.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일본명 시게미쓰 사토시). 사진. 시게미쓰 사토시 페이스북.

韓 귀화자는 병역 의무 없나

문제는 롯데그룹 오너 3세인 신 상무가 매스컴 등을 통해서 이미 한국 이름을 널리 쓰고 있음에도 38세에 한국인으로 귀화할 경우 병역 기피 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귀화를 하더라도 법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

현재 귀화자는 병역 의무는 선택사항이다. 희망자에 한해서 현역, 사회복무요원 등 형태로 복무할 수 있도록 돼 있지만 대부분 신청 한 번이면 전시근로역으로 편입한다.

전시근로역은 민방위의 다른 표현으로, 현역, 예비군 등 훈련이 면제되고 민방위 훈련만 별도로 받으면 된다. 병역을 위한 신체검사에서는 5급으로 판정될 경우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된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 2019년 말부터 귀화한 한국인에 대한 역차별 등을 근거로 귀화자들 또한 병역의무를 가질 수 있도록 관련 입법을 추진했으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국방연구원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귀화자들도 다양한 사례들이 있기 때문에 의무를 질 수 있는 수준을 맞춰야 하고 상황에 따른 병역의무를 질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진행 했었다”라며 “관련법 추진 상황 등은 국방부로부터 따로 전달받지 않아 구체적으로 알 수가 없다”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2019년 말 귀화자의 병역의무 입법안을 추진하기로 했었으나 20대 국회 폐기 법안 중에서는 물론 21대 국회 입법, 계류 법안에 관련 내용이 일체 없는 것으로 보아 입법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병무청 최근 자료에서도 귀화자의 병역의무 또한 여전히 '선택사항'이다.

그러나 귀화자도 병역 의무를 져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한국국방연구원이 설문 조사한 결과 '귀화자 병역 의무화 정책이 타당하다'는 응답이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매우 필요하다(21.8%), '필요한 편이다;(50.6%) 등 병역 의무에 찬성하는 의견이 72.4%에 달했다. 이는 추후 신 상무에 대한 병역 의무 이행 여부가 국민의 입에 오르내릴 수 있다는 얘기다.

실제 지난 5년간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등으로부터 귀화한 남성이 1만여명인데, 이 중 병역판정검사 대상자로 분류되는 성년 남성 2700여명 대부분이 현역이 아닌 전시근로역으로 편입한 상황이다.

게다가 현재 러시아, 그리스, 이스라엘 등 남성들에게 병역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국가들의 경우 귀화자에 대한 병역의무를 일반 자국민들과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부과하고 있다.

롯데그룹은 국내 재계 5위 그룹으로 꼽힌다. 한국에서 유통, 화학, 호텔 등의 분야에서 활발히 사업 중이다. 하지만 한국사업의 규모가 훨씬 큼에도 여전히 일본 지분의 비중이 크다. 일본 롯데홀딩스, L투자회사, 광윤사 등 일본 회사 지분이 99%로, 일본으로 흘러가는 배당금이 상당하다. 더욱이 신 회장도 한국어 능력이 뛰어난 편이 아니라 일본기업이라는 비판을 종종 받고 있기도 하다. 

병역은 국민의 4대 의무이고, 사회 지도층의 병역 기피에 대해서는 여론이 엄격하다. 한국국방연구원은 “병역의무의 형평성은 사회의 중요한 규범적 가치로 작동된다”라며 “고위공직후보자 등의 경우 인사검증의 기준으로 활용되고 병역기피나 불이행은 사회적으로 큰 질타를 받을 정도로 사회적 관심이 크다”고 지적했다. 선택적 병역이 가능한 상황에서 굳이 2년을 기다려 귀화한다면, 신 상무가 향후 그룹의 총수 지위에 오른 뒤 반감을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이와 관련해 롯데지주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관련 병역법에 따라서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며 “신 상무의 경우 귀화 등은 오너 개인의 일이고 선택이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할지 우리가 알 수 없다. 다가오는 임원인사도 어떻게 될지 모른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