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협‧산림조합 등도 연간 대출 증가율 목표치에 임박

협동조합‧지방은행에도 대출 증가율 목표치 관리 권고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사진. DB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사진. DB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금융당국의 ‘대출 조이기’가 국내 시중은행을 넘어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 협동조합 등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미 시중은행의 대출 총량이 한계치에 임박하면서 대출 수요가 2금융권 및 신용협동조합으로 몰릴 가능성에 대비한 조치로 보인다.

이처럼 대출 조이기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당장 오늘부터 시작되는 금융당국 대상 국회 국정감사를 통해 대출 폭증세를 억제하면서도 실수요자를 지원할 수 있는 당국의 해법이 나올지 주목된다.

6일 데일리임팩트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농축협 대출 자산 규모는 약 299조5526억이다. 이는 전년 말 대비 20조원 정도 증가한 수치다.

전 금융권으로 ‘대출 조이기’ 확산

특히 가계대출의 증가세가 눈에 띈다. ‘영농자금’, ‘축산자금’ 등 농축산 종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대출을 뺀 일반 가계대출은 지난 상반기에만 무려 8조 1500억원 이상 늘어났다. 이는 농축협이 올 초 금융당국에 보고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5%)에 거의 근접한 수준이다.

특히 이러한 증가세는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의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율(2.8%)을 훌쩍 넘어서는 수준이다. 지금의 추세라면 농축협 가계대출 역시 10월 중 한계치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

최근에는 금융당국이 산림협동조합(이하 산림조합) 및 인터넷전문은행 관계자들을 만나 대출 총량 관리 및 증가율 목표치 준수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융당국이 권고한 산림조합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는 4% 수준이다. 하지만 이미 지난 상반기를 전후로 5%대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진다.

최근 금융당국은 일반 시중은행을 넘어 저축은행, 지방은행, 신용협동조합, 인터넷전문은행 등 전 금융권에 ‘대출 조이기’를 주문하고 있다. 이미 BNK(부산·경남), JB(전라), DGB(대구·경북) 등 대형 지방 금융지주사의 은행계열사에는 대출 총량 관리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진다.

인터넷전문은행 업계에도 총량 관리를 당부하는 금융당국의 입장이 전해졌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은 그동안 시중은행에 비해 비교적 대출 총량 관리 및 규제가 느슨했다는 점에서 당국의 규제에 더욱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미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일부 신규 대출 중단 및 대출 한도 축소를 단행했다. 출범 첫날부터 파격적인 대출 상품으로 눈길을 사로잡은 토스뱅크도 신용대출 한도를 최대 2억7000만원으로 설정하면서도 ‘연 소득 이내 한도’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오른쪽)은 27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진행된 경제·금융전문가 간담회에서 경제·금융시장 전망 및 주요 리스크 점검 등 금융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금융위원회.
고승범 금융위원장(오른쪽)은 27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진행된 경제·금융전문가 간담회에서 경제·금융시장 전망 및 주요 리스크 점검 등 금융안정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 금융위원회.

가계부채 추가 대책에 관심 집중

문제는 이러한 대출 조이기가 연말, 최대 내년 상반기까지는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시중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대출 수요가 2금융권, 지방은행으로 넘어가는 이른바 ‘풍선효과’도 지속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고금리 대출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은 과도한 이자 상환이라는 또 하나의 부담을 지게 된다. 상당수의 차주가 소위 ‘부실 차주’로 내몰릴 수도 있다.

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부채 총량 관리뿐 아니라, 차주의 상환능력 범위 내 대출 관행의 정착 또한 필요하다”며 “부실 차주들의 상환 능력을 분석하고 부실 채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악의 경우, 오는 연말에 사실상 금융권 내 모든 대출이 막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급전이 필요한 차주들이 대부업체와 같은 불법 사금융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사실상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상황이 전개될 수도 있다.

그런 까닭에 금융업계에서는 10월 중 금융당국이 내놓을 가계부채 추가 대책에 주목하고 있다. 가계대출 억제와 총량 관리, 실수요자 보호 대책이 주요 키워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이전에 없던 새로운 대책이 나올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히 금일부터 진행되는 금융당국에 대한 국정감사에도 시선이 모아진다. 이번 국정감사의 최대 현안 역시 가계부채 관리 방안이다. 일단 정무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가계부채 관리의 필요성과 더불어 실수요자 보호를 위한 효과적인 대책과 관련한 질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