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신용 등급, A+ → A 하락
대보건설 신용 등급전망, ‘안정적’ → ‘부정적’ 하향 조정
회복 위해선 안정적 수주 여건 지속 및 영업이익률 관리 필요

GS건설 CI./ 사진 = GS건설 제공
GS건설 CI./ 사진 = GS건설 제공

[데일리임팩트 한나연 기자] 지난해 4월 발생한 인천 검단 아파트 사고로 GS건설, 대보건설, 동부건설 등 5개 건설사가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가운데 신용평가사들이 해당 건설사들의 신용등급 및 등급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불확실한 외부 환경과 시장 침체까지 이어지면서 건설사의 재무 부담 수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영업정지 건설사들의 신용등급·전망 하락...원인은

15일 한국신용평가(이하 한신평)는 대보건설의 무보증사채(P-CBO) 신용 등급전망을 기존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신용등급은 BBB-로 유지했다.

또 GS건설의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낮춘 반면 신용 전망은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조정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일 부실시공으로 △GS건설 △동부건설 △대보건설 △상하건설 △아세아종합건설 등 5개 건설사업자에 영업정지 8개월의 행정처분을 내린 바 있다. 이어 서울시가 GS건설에 품질시험 불성실로 1개월의 행정처분을 부과하고 경기도 역시 공동수급체인 대보건설에 대해 동일한 처분을 내리면서 두 건설사는 총 9개월의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됐다.

이에 한신평은 대보건설의 신용 등급전망 하향 조정 이유로 영업정지 처분에 따른 사업 및 재무적 변동성을 꼽았다. 비우호적인 외부환경과 재무 부담 수준 등도 감안했다는 설명이다.

대보건설이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 정지 신청 등의 법적 대응을 예고해 실질적인 처분 효력 적용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내 민간 및 공공공사 입찰이 제한됨에 따라 신규 수주 차질은 불가피할 전망이며, 공공공사를 중심으로 성장한 대보건설의 수주경쟁력, 시공 능력 등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GS건설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과 관련해 한신평은 주택사업의 브랜드 인지도 및 시공능력, 투자심리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장기화 및 대외환경의 불확실성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붕괴 사고로 인해 주택 브랜드 ‘자이’의 이미지가 크게 실추됐으며, 건설 수주·투자 위축, 양극화 등으로 사업경쟁력은 악화했다는 분위기다.

다만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건설사업 수주잔고 △영업실적 회복 전망 △보유 자산에 기반한 재무 융통성 등을 감안하면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이라는 평이다. GS건설 역시 집행정지 신청과 행정처분 취소 소송 등을 통해 처분에 대응할 예정이다.

영업정지, 불안정한 대내외 상황에 재무 변동성 확대 우려

특히 인천 검단사고 관련 영업정지 처분과 불안정한 건설 업황 때문에 각 건설사의 재무 변동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신평은 대보건설의 경우 확대된 재무 부담을 단기간 내에 해소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대보건설의 등급전망이  ‘안정적’으로 복귀하기 위해선 △주력 사업인 공공공사 중심의 안정적인 수주 여건 지속 △영업이익률 관리 등의 방안을 꼽았다.

대보건설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률은 2.1%로, 전년 누적 영업이익률 2.5%에 이어 저조한 수익성 기조가 유지되는 중이다.

김상수 한신평 수석애널리스트는 대보건설에 대해 “건설 관련 대외환경이 악화한 상황에서 영업정지 처분에 따른 공공공사의 수주 환경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인건비 상승을 비롯한 공사원가 부담, 공공공사 비중 확대에 따른 채산성 저하 등이 수익성 측면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GS건설 역시 주택 브랜드 인지도, 시공 능력 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수주· 분양 등을 포함한 주택사업 전반의 영업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연결 기준 3885억원의 영업손실까지 발생했다.

전지훈 한신평 연구위원은 GS건설에 대해 “조합원 분양 물량이 확보된 정비사업 위주의 예정 사업장 구성을 보유하고 있어 경기 변동에 대한 대응능력은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며 “공사원가 상승분을 반영한 신규 주택사업장의 순차적 착공을 감안할 때 2024년부터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실적이 예상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검단 현장 사고와 정부 행정처분의 영향으로 브랜드 인지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확산하고 주택경기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주택사업 전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며 “영업정지 처분 이후 주택사업의 수익성 등락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플랜트 및 인프라 부문도 본격적인 이익 실현까지는 시일이 소요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