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플랫폼 혁신의 핵심 키워드로 '생활서비스' 급부상

자동차‧배달‧소비 등 비금융 영역의 서비스 대거 탑재

금융업 한계 벗어나는 과감한 시도 가능성에는 '의문'

[미디어SR 김병주 기자] 금융업계의 플랫폼 경쟁이 올해 하반기에도 뜨겁게 펼쳐질 전망이다. 은행, 카드 업계를 중심으로 단순 금융서비스를 넘어 다양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최근 카카오뱅크를 포함해 기존 금융사의 대항마로 떠오른 인터넷전문은행 업계가 플랫폼 강화 전략을 전면에 내세운 상황을 감안할 때 플랫폼 주도권을 쥐기 위한 금융업계 내 경쟁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주요 은행, 카드사들은 자체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별화 서비스 탑재에 주력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소위 ‘빅테크(BigTech)’의 금융업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기존 금융기관들이 이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내세운 전략 중 하나가 바로 ‘플랫폼 사업’이라는 얘기다.

특히 이러한 전략은 일부 금융사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른바 ‘슈퍼앱(SuperApp)’전략의 일환으로도 볼 수 있다. 슈퍼앱이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 뿐 아니라 비(非)금융 영역의 다양한 서비스를 탑재한 하나의 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슈퍼앱의 대표적 사례로는 바로 국민 메신저라는 닉네임까지 갖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을 꼽을 수 있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최근 수십 개의 앱을 하나의 앱으로 통합하는 ‘원앱’ 전략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금융과 비금융의 다양한 서비스를 아우르는 ‘슈퍼앱’ 전략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며 “이는 디지털 금융에 특화된 핀테크와의 경쟁뿐 아니라, 새로운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주요 금융사들은 발 빠르게 플랫폼 진화를 꾀하고 있다. 특히 이들 모두 공통적으로 고객과 더 많은 접점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의 ‘생활 밀착형 서비스’ 탑재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하나은행은 최근 자체 모바일 앱 ‘하나원큐’에 개인 간 중고차 직거래를 지원하는 P2P(Peer-to-Peer) 서비스, ‘원더카 직거래’를 오픈했다. ‘원더카 직거래’는 동호회 등 중고차 직거래 장터에서 이뤄지는 개인 간 중고차 직거래에 대해 신뢰성과 편의성을 더해주는 플랫폼 서비스다. 특히 은행권 최초로 개인 간 중고차 직거래에 대한 오토금융을 제공, 거래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기존 오프라인으로 진행해야 했던 서류 제출 및 차량등록사업소 방문 등의 과정을 모바일로 구현한 ‘모바일 기반 차량 명의이전 시스템’을 적용해 눈길을 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미디어SR에 “이밖에 직거래 차량에 대한 동행 점검, 사고 이력 체크, 침수‧압류 여부, 정비 등의 서비스도 앱 내에서 원클릭으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라고 귀띔했다.

NH농협은행도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를 지원하기 위한 ‘올원 플라워’ 서비스를 론칭했다.

‘올원 플라워’ 서비스는 농협은행의 모바일 플랫폼 ‘올원뱅크’에서 한국화훼농협의 꽃다발, 화환, 난(蘭) 등 화훼 상품을 농협계좌 및 카드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다. 상품 수령 고객이 직접 배송지를 입력할 수 있는 ‘선물하기’ 기능을 활용해 생일, 승진 등 기념일에 꽃배송이 가능하다. 특히 오전 11시 이전 주문 건에 대해서는 당일 배송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진. NH농협은행
사진. NH농협은행

농협은행 이종찬 올원뱅크 셀(CELL) 리더는 “올원뱅크 고객의 편의성 제고와 고객 생활금융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위해 이같은 신규 생활 밀착 서비스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비금융 신사업 조직인 ‘O2O추진단’을 신설하고 생활금융 플랫폼으로의 도약을 겨냥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모빌리티 기술 기업과 업무협약을 맺고 자율주행 및 관련 모빌리티 금융사업 진출을 위한 작업에 착수하기도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기존에 준비해오고 있는 배달 플랫폼뿐 아니라, 최근 떠오르고 있는 ‘펫코노미(반려동물 관련 시장)’ 분야에서도 특화 금융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리금융 역시 자회사인 우리캐피탈을 중심으로 그룹 통합 자동차 금융 플랫폼인 ‘우리원카’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서비스는 이르면 연말쯤 오픈할 예정이다.

이처럼 생활 밀착형 서비스 기반의 플랫폼 전략이 활성화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금융업계에서 기대하는 ‘미래성장동력’으로의 성장 가능성에는 의문을 제기한다. 무엇보다 ‘금융업’이라는 굴레에서 생활 플랫폼 사업을 성장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디어SR에 “금융당국의 규제가 많다 보니 보다 공격적인 서비스의 확장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사별로 다양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지만 이를 현실화하기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금융당국은 신한은행이 자사 모바일 플랫폼 ‘쏠(SOL)’에서 제공해오던 공동구매 플랫폼 ‘소투(SOTWO)’의 서비스 중단 방침을 통보했다. 해당 서비스는 지난달 30일을 끝으로 종료됐다.

소투 앱은 고객이 공동구매 형식으로 디지털 지분을 소유한 후 제품을 되파는 ‘리셀’ 재테크 플랫폼이다. 특히 최소 1000원부터 시작되는 소액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판 스니커즈 등에 관심이 많은 MZ세대 사이에서 인기가 높았다.

당시 금융당국은 고객이 은행 앱을 이용해 투자할 경우, 자칫 상품 구매 과정에서 법률적 리스크에 기반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신한은행 측은 “이미 소투의 경우 파일럿 형태의 서비스로 예정된 종료 시점이 있었다”며 “금융규제 샌드박스(혁신금융 서비스)에 관련 서비스 운영 계획을 신청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