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짜입지에만 집중하는 선별 수주 전략 세워
자사 하이엔드 브랜드 내세우며 경쟁 심화
노량진, 여의도, 압구정 등 수주 경쟁 뜨거울 듯

부동산 관련 이미지. 사진.이미지투데이
부동산 관련 이미지. 사진.이미지투데이

[데일리임팩트 한나연 기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지구 촉진2-1구역’(이하 부산 촉진 2-1구역) 재개발 사업 수주전 승자가 포스코이앤씨로 결정됐다. 부산 촉진 2-1 구역 사업은 부산 최대 재개발 사업으로 손꼽혔던 만큼 올해 남은 재건축·재개발 지역을 둘러싼 수주전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대어급' 부산 촉진 2-1구역 재개발... 승자는 '포스코'

3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산 촉진 2-1구역 재개발 사업의 시공사로 포스코이앤씨가 선정됐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 27일 부산 촉진 2-1구역 조합원 총회의 시공사 선정 투표에서 297표 중 171(58%)표를 받았다. 포스코이앤씨와 경쟁한 삼성물산은 124표(41%)를 얻었다. 기권·무효표는 2표였다

부산 촉진2-1구역 재개발 사업은 부산진구 범전동 일원에 지하 5층∼지상 69층 아파트 1902가구와 오피스텔 99실, 부대 복리시설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재개발 사업이다.

포스코이앤씨는 그간 서울 서초·방배에 적용되던 하이엔드 브랜드 ‘오티에르’를 지방에 최초로 제안해 조합원의 표심을 산 것으로 보인다. 창호, 수전, 위생도기 등의 마감재도 고가의 자재를 제시하면서 경쟁에 열을 올렸다.

특히 총회 의결을 거친 조합의 모든 사업경비를 전액 무이자로 대여하고, 사업 촉진비 1240억원(세대당 4억원)을 지원하는 금융 조건을 제시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3.3㎡당 891만원의 공사비를 제시한 것 역시 수주권 확보에 일조했다는 분위기다. 삼성물산이 제시한 공사비는 969만원으로 알려졌다.

올해 남은 재건축·재개발 격전지는?

지난해부터 지속돼 온 건설 시장 침체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로 대형사들은 사업성이 보장되는 알짜 입지에만 사업을 집중하는 선별 수주 전략에 나서는 분위기다. 자연스럽게 주요 사업장을 둘러싼 건설사 간 치열한 수주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동작구 노량진 1구역 재개발 사업지다. 최근 노량진 뉴타운 재개발 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8개 구역 중 유일하게 시공사를 구하지 못한 1구역에 각 건설사가 눈독을 들이고 있다. 1구역은 8개 구역 가운데 최대 규모로, 지하 4층 ~ 지상 최고 33층 2992가구가 조성될 예정이다.

지난 15일 조합장 재선출을 시작으로 사업 정상화를 알린 노량진 1구역은 다음 달 시공사 재입찰에 나선다. 지난해 12월 현장 설명회에는 △포스코이앤씨 △GS건설 △삼성물산 △효성중공업 △금호건설 등이 참여한 바 있어 해당 건설사들이 입찰에도 참여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밖에도 대형사들은 여의도, 목동, 압구정 등 사업성과 입지를 모두 갖춘 대규모 사업장 시공자 선정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앞서 부산 촉진 2-1구역 수주에 성공한 포스코이앤씨는 영등포구 여의도 한양아파트 재건축사업 수주도 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서울시는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 통합기획 수권분과위원회를 열어 해당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 대한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통과했다. 이에 따라 여의도 한양아파트는 최고 56층, 992가구 주택단지로 재건축될 예정이다.

한양아파트 재건축 시공사 수주전에서 포스코이앤씨와 현대건설이 맞붙게 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특히 두 건설사 모두 자사 프리미엄 브랜드인 '오티에르'와 '디에이치'를 내세워 하이엔드 브랜드 맞대결이 예상된다.

이외에도 목동, 압구정 등 상징성이 높은 서울 주요 사업지의 시공사 선정 경쟁은 올해 더 치솟을 전망이다. 앞서 현대건설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압구정 재건축 관련 전담 팀까지 꾸리며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건설사 간 수주전 과열 양상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불법 홍보, 조합 사칭, 매표 등 확인되지 않은 의혹들로 출혈경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한 피해는 건설사는 물론 조합원들에게까지 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간 재건축 사업을 놓고 건설사들이 과도한 조건을 내거는 등 치열한 수주전이 반복돼 왔다. 특히 시공사 선정 절차 이후에도 건설사 간 법적 소송 등의 후유증이 빚어진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