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슨모빌·셸 등 글로벌 정유업계 3분기 순이익 전년 대비 2배 이상 상승

온실가스 多배출, 기후 소송 잦아도 이익은↑...'ESG 무용론' 나오기도

IEA, "일시적 현상"...재생E 수요·기후공시 강화로 정유업 ESG 필요성 높아질 것

사진. 엑슨모빌 홈페이지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탄소 다배출 업종인 정유업계가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수익과 주가가 고공행진하면서 'ESG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다.

31일 재계에 따르면 엑슨모빌, 로열더치셸 등 글로벌 정유 기업은 올해 3분기에 역대 최고 매출과 함께 올해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다.

엑슨모빌은 최근 올해 3분기 196억 6000만 달러(28조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순이익 대비 2.9배에 달한다. 이 같은 실적에 힘입어 연중 주가는 74% 상승했다.

로열더치셸 또한 3분기 94억5400만달러(13조440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 이익의 두 배를 넘어선 것으로 창사 이후 최대 이익을 기록한 지난 2분기(115억달러) 이후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셸의 주가도 연중 40% 상승했다.

글로벌 정유업계의 최근 수익 개선은 서방국가의 제재에 러시아가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 공급을 막으면서, 세계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것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에서 ESG 무용론이 함께 나오고 있다. 정유사들이 과도한 탄소 배출, 과장광고, 불가능한 감축 목표 설정으로 기후 관련 각종 소송에 휘말렸음에도 수익과 주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정유산업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 산업 5위에 달하는 탄소 다배출 업종으로 업의 특성상 수익이 늘면 석유 정제와 운송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도 함께 늘어난다.

이에 반발해 미국 일부 주와 환경단체가 지난해 화석연료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기후 소송 사례는 전년 대비 50% 가까이 증가한 바 있다.

실제 미국 뉴저지 주정부는 지난 18일 엑슨모빌, 셸, 셰브론 등 글로벌 주요 정유기업과 이들이 속한 미국 석유협회(API) 무역 기구 등을 주법원에 고소했다. 이들이 수십 년간 화석연료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악영향을 알고 있으면서도 관련성에 대해 대중에게 알리지 않고 속여왔다는 것이다.

소송 내용에는 주 전체의 습지와 시설 등 천연자원과 자산에 대한 기후변화 피해, 해수면 상승으로 납세자들이 보호책에 투입한 수십억 달러의 비용 등이 포함됐다.

지난 4월에는 엑슨모빌이 캘리포니아 주정부에 의해 재활용 플라스틱 효과를 과장한 홍보 캠페인을 통해 대중을 속인 혐의를 받기도 했다. 

당시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엑슨모빌이 재활용 플라스틱의 효과가 없는 것을 알고도 50년간 재활용의 장점을 홍보하는 데만 수천만 달러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셸은 지난해 기후소송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조정을 요구받은 최초의 정유사다. 네덜란드 환경단체 ‘지구의 벗'은 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강화를 요구한 소송에서 승소했다. 이에 셸은 네덜란드 대법원으로부터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9년과 비교해 45% 감축할 것을 명령받았다.

ESG, 장기적으로 바라봐야, 친환경 정책 리스크 여전

업계에서는 정유업계로 인해 ESG가 무용론이 나오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가별 친환경 정책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와 기후 공시 강화가 아직 ESG 리스크 요인으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에너지 전망 2022’ 보고서를 통해 "에너지 위기로 석탄 사용이 높아지는 것은 일시적”이라며 “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 속도가 전체 발전의 증가 속도보다 충분히 빨라 전력에 대한 화석 연료의 기여도는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IEA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연합의 ‘피트 포 55’ 등 재생에너지 공급 정책으로 향후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화석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 80%에서 2050년 60%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ESG 공시에서 요구하는 스코프3 관리도 정유업계의 ESG 리스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유럽연합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 등 글로벌  ESG 공시 기준에서는 제품 사용단계를 포함한 기업의 공급망 내 온실가스 배출량(스코프3)을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공시 기준 제정에 따라 필수 정보에 스코프3 배출량이 포함된다면, 이에 대한 감축을 요구하는 환경단체나 소비자들의 정유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후 소송도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ESG 투자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대란 이후가  ESG가 우수한 정유사를 가려내는 기점이 될 것”이라며  "스코프3를 측정해 관리에 나서고, 수소나 재생에너지 사업 등 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량(스코프 1) 감축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