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 카카오T 활용한 도심 자율주행 서비스 선보일 예정

완전 자율주행은 아직…4단계까지는 기술적으로 요원

택시노동자들의 거센 반발 예상…“완충장치 필요해”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 운전석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 운전석 모습. 사진.카카오모빌리티

[데일리임팩트 김현일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잡고 연내 택시를 시작으로 도심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일 것을 밝혔으나, 상용화까지는 험난한 길을 가야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술적으로 완전 자율주행이라 할 수 있는 4단계까지는 진입하지 못한 데다, 생존권에 위협을 느낄 택시업계의 거센 반발도 예고됐기 때문이다.

22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최근 카카오모빌리티와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실증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서(MOU)’를 교환했다.

양사는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실증과 사업 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우선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 T 플랫폼을 활용해 현대차의 아이오닉5 ‘로보라이드’를 호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도심 자율주행 모빌리티 시범 서비스를 연내 선보일 예정이다.

로보라이드는 레벨 4 수준의 자율주행차를 활용해 탑승객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하는 현대차의 모빌리티 서비스다.

자율주행 ‘레벨 4’는 운전자의 개입이 불필요한 단계로 운전과 긴급상황 대처 등을 전적으로 시스템이 도맡아 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한다.

두 회사는 도심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작으로 향후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차량을 통해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서비스인 로보라이드가 적용된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사진.현대차기아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서비스인 로보라이드는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에 적용됐다. 사진.현대차기아

하지만 아직 국내 업체들의 자율주행 기술은 ‘완전 자율주행’ 단계인 레벨 4에 진입했다 보기에는 이르다.

현재 현대차 로보라이드는 서울 강남 일대에서 전용 전기자동차인 아이오닉 5 1대만 운영되고 있는데다 연구진들이 상시 탑승해 비상상황에 대비하기도 하는 등 완전 자율주행이라 보기에는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세계적으로는 중국의 바이두가 유일하게 최근 자율주행 4단계를 탑재한 ‘아폴로 RT6’ 모델 로보택시를 선보이며 내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국 테슬라의 경우 아직 자율주행 2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스타트업인 ‘포티투닷’ 인수 및 KT와의 기술 공동개발 등 가장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나 관련 기술 부족 및 주행 데이터 부족 등으로 아직 자율주행 4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때문에 국토교통부는 이미 지난 8월 전원 민간 위원으로 구성된 ‘모빌리티 혁신위원회’를 출범시켜 연내 ‘레벨 3’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차 출시를 지원함과 동시에 전국 모든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당 차량들의 운전 속도를 제한 속도까지로 확대하며 순차적인 자율주행 완전화를 꾀하고 있다.

조건부 자동화로 명명된 자율주행 레벨 3는 자율주행이라 불릴 수 있는 최소 단계로, 시스템이 요청할 시에는 운전자가 언제든 운전을 할 수 있게끔 준비가 돼있어야 하는 단계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말에 레벨3 자율주행 기술인 ‘고속도로 파일럿’(HDP)이 탑재된 제네시스 G90을 국내 출시 예정에 있으며, 내년부터는 현대차·기아의 신차에 이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우버는 국내 시장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철회한 뒤 지난 2021년 2월 SK텔레콤 자회사인 티맵모빌리티(주)와 합작한 합작법인을 설립해 2021년 4월 택시 서비스인 UT를 통해 국내 서비스를 재개했다. 사진.우버
우버는 국내 시장에서 차량 공유 서비스를 철회한 뒤 지난 2021년 2월 SK텔레콤 자회사인 티맵모빌리티(주)와 합작한 합작법인을 설립해 2021년 4월 택시 서비스인 UT를 통해 국내 서비스를 재개했다. 사진.우버

지금은 잠잠하다지만 본격적으로 자율주행 서비스가 도입될 경우 예상되는 택시 업계의 거센 반발에 대비해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대비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한국은 ‘혁신 모빌리티의 무덤’이라는 오명을 달고 있다.

지난 2013년 한국에 상륙했던 미국의 ‘우버’나 2018년 ‘타다’ 등의 차량 공유 네트워크 서비스가 줄줄이 쓴맛을 봤기 때문이다.

여기에 당시 택시 업계의 저항에 표심을 지나치게 인식했던 정치권이 지난 2020년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 일명 ‘타다 금지법’을 통과시키며 국내에 움트고 있던 승차 공유 서비스는 물론, 해당 업체들이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가고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 등의 혁신 기술 도입마저 뒤처지고 말았다.

그 결과 미국·유럽·일본·동남아 등지에서 혁신 모빌리티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동안 한국은 여전히 대기업들의 택시 수수료 인상 논란 및 택시 기사들의 승차 거부·심야택시 대란 등 제자리에 머물고 있는 서비스로 오히려 시대를 역행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한국 정부는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차량을 상용화를 목표로 관련 규제 완화 및 지원 방안을 검토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레벨 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이 활성화될 경우 자율운행차가 결국 택시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며 “택시·버스를 포함한 운송업계에서 생존권을 두고 저항이 격화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정부가 자율운행 도입과 동시에 택시업계의 활로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아직 자율주행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않고 있다”며 “물론 앞으로 실현될 사안이기는 하나 단기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보니 정부에서 노조나 운송사업조합 측과 함께 장기적으로 정책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지만 순식간에 아무런 대책도 없이 자율주행으로의 전환이 이뤄진다면 법인 택시 근로자가 많은 현재 직업이 없어지는 분들이 많아질 것”이라며 “국가 정책으로 간다 할 지라도 어느 정도 완충장치가 분명 있어야 한다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