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한국ESG연구소 '지속가능에너지 포럼 개최'
원자력 인정하는 CF100, 실시간 무탄소 전력 모니터링 난제
수요·공급 모니터링·매칭 IT기술개발 및 제도개선 중요

지난 27일 서울그랜드하얏트 호텔 1층에서 개최된 '한·미 지속가능에너지 경쟁력과 정책 시사점' 포럼에 참가한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박민석 기자
지난 27일 서울그랜드하얏트 호텔 1층에서 개최된 '한·미 지속가능에너지 경쟁력과 정책 시사점' 포럼에 참가한 패널들이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 박민석 기자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  "CF100이 원자력을 인정하기에 RE100보다 달성하기 쉽다고 생각하면 오해입니다. 실시간 무탄소 에너지(원자력, 그린수소 등) 공급과 함께 REC 구매 등 상쇄(Offset)를 허용하지 않기에 결코 쉽지 않습니다"

재생에너지 공급량과 변동성 문제로 RE100(재생에너지 전력 100% 사용) 대안으로 떠오른 CF100(24시간 무탄소 에너지 100%사용)이 기술적인 한계로 달성하기 어렵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27일 이선경 한국ESG연구소 센터장은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 1층 그랜드살롬에서 개최된 '한·미 지속가능에너지 경쟁력과 정책 시사점' 포럼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에너지 전환과 함께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CF100과 RE100'와 관련된 국내외 연사들의 발표와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CF100이란 전력 100%를 무탄소 에너지원(원자력, 그린수소 등)으로 전력을 24시간 공급 받아 사용하자는 캠페인이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만 생산한 전력 100%를 전 사업장에 공급하자는 RE100과는 인정받는 에너지원과 주관기관 등에 차이가 있다. 최근 산업부에서도 CF100 관련 연구용역을 에너지경제연구원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무탄소 에너지 '실시간' 공급하는 CF100, 기술·제약조건 많아

이선경 한국ESG연구소 센터장은 '글로벌 RE100/CF100 이해와 오해' 주제 발표에서 RE100과 CF100의 공통점은 '전력 사용' 내 온실가스 감축이라고 설명했다. 

두 캠페인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원자력, 연료전지 등 인정 에너지원과 상쇄(Offset)인정 여부, 실시간 에너지 공급여부 등을 꼽았다. 

이 센터장은 특히 연간 전력소비량을 확인하는 RE100의 경우 석탄발전 전력을 사용하고도 REC, 녹색프리미엄 등 재생에너지 구매 실적을 인정하지만 실시간으로 무탄소 전력을 공급해야하는 CF100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센터장은 "CF100이 재생에너지 구매실적을 인정하지 않기에 RE100보다 달성하기 어렵다"라며 "또한 실시간으로 무탄소 전력 수요·공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IT기술도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시간 전력 수요·공급 모니터링 기술이 없을 경우, 기업이 발전소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이 석탄발전을 통해 생산됐는지, 원자력 발전을 통해 생산됐는지 파악이 어렵다는 설명이다. 

또한 아직까지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 기술이 국내선 개발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CF100 달성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 센터장은 "현재까지 구글 이외에 CF100을 실제 추진 기업하는 확인하기 어려운 이유"라고 말했다. 

또한 RE100(사용전력 100% 재생에너지)실적을 볼때 재생에너지 달성률만 놓고 업종별로 비교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 자체 공장이 없고 아웃소싱을 맡기는 애플은 2019년 이미 RE100을 달성했지만, 국내외 공장을 갖고 있어 전력 사용량이 많은 삼성전자는 전 사업장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이 20.48%에 불과했다.

또한 전체 전력사용량이 많지 않은 업체의 경우에는 RE100 달성을 과대 해석하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고도 설명했다.

이 센터장은 "미국 제약업체 바이오젠은 RE100을 조기에 달성했으나, 전력 사용보다 제품생산·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았다"며 "RE100 달성 기업이라도 다른 에너지 사용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은 이루어지고 다각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설명했다.

이날 발표자로 함께 나선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국제 재생에너지 전문가인 존 번 미국 델라웨어대 교수는 "지난해 바이든 정부에서 최초로 국가적 차원의 에너지정책인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을 시행했다"며 "기존 에너지정책은 주차원에서 추진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미국 내 태양광, 풍력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하며, "재생에너지는 기후리스크도 적고 투자도 유치할 수 있는 매력적인 자원"이라며  "정책방향이 급변하는 만큼, 기업들도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탄소 전력 수요·공급 추적 어려워..기술개발·제도 개선 필요

이어진 Q&A 시간에서는 국내 재생에너지 공급과 CF100 추진의 어려움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

이유수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CF100을 한다하더라도, 현재는 전력을 공급 받은 기업이 어느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인지 추적이 불가능해 검증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수요·공급 추적 기술 개발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선경 한국ESG연구소 센터장은 “현재로서는 기술적 한계가 있는 CF100과 공급 한계가 있는 RE100 둘다 활용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에너지원 공급 방식을 다양화할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플로어에서 한 기업 관계자는 "재생에너지 공급을 위해 산을 깎아 태양광 발전을 할 경우 생물다양성을 해치기도 한다"며 "두 가지 가치가 양립하는 상황에서 실제 정부가 목표하는 재생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나"고 질문했다.

전의찬 세종대학교 교수는 "영국에서는 이미 낮은 산둥성이에 나무를 깎아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있고, 일부 해상풍력을 설치한 곳에서는 주민들이 조업에 도움이 된다 안된다를 놓고 의견이 갈리기도 한다"며 "결국 생물다양성과 재생에너지 공급 사이 우선순위는 국민적 합의와 국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