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에 큰 인기 끌며 새로운 수입원 각광
빅테크와 경쟁하기 위해 카드사도 속속 출시
금융이력 부족한 이용자들의 빚 더 늘어날 수도

사진. 이미지투데이.
사진. 이미지투데이.

[데일리임팩트 최동수 기자] MZ세대·신파일러(금융 이력 부족자‧Thin Filer) 등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후불결제(BNPL·Buy Now Pay Later)' 시장 내 과열경쟁이 자칫 신용 리스크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최근 폭풍성장하며 카드사의 새로운 수입원으로 각광받는 후불결제 시장을 둘러싼 핀테크 사와 카드사의 주도권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막대한 이자수익에 매몰된 카드사들이 취약 차주들을 빚잔치로 내몰고 있다는 비판인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신용 리스크를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팽창하고 있는 후불결제 시장을 무작정 막는 것보단 과소비와 연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나아가 국내 BNPL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빅테크와의 규제 형평성 문제도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16일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네이버·카카오·토스 후불결제 잔액은 작년 6월 말 167억원에서 12월 말 406억원으로 2.5배 늘었다. 가입자 수는 3사를 합해 222만475명에 달했다.

후불결제는 현금 없이 물건을 먼저 구매한 후 나중에 분할해 지급하는 구매 방식이다. 현금이나 신용카드가 없어도 상품을 우선 결제한 후 나중에 갚을 수 있어 일종의 '외상거래'로 볼 수 있다. 신용도가 낮거나 일정한 소득이 없어도 이용 가능하다는 특징 때문에 소득 대비 소비 성향이 강한 MZ세대의 수요가 큰 편이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2021년 네이버파이낸셜의 소액 후불결제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한 이후 카카오페이, 토스 등 빅테크사들이 후불결제(BNPL) 시장에 진출했다.

출시 초반, 큰 인기를 끌지 못했던 후불결제는 빅테크의 적극적인 홍보와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후불결제 시스템이 녹아들면서 6개월 사이에 142.9%나 성장했다.

핀테크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초반에 인기가 없어 빅테크사들도 정착에 애를 먹었지만 이용자가 점차 늘면서 빠르게 선점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우리카드 체크레딧. 사진. 우리카드.
우리카드 체크레딧. 사진. 우리카드.

빅테크 선점에 카드사도 '참전'

빅테크의 선점으로 후불결제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자 카드사들도 후불결제 서비스를 속속 출시해 시장에 동참하고 있다. 카드업계의 업황 악화를 타개하고 빅테크에 빼앗긴 이용자를 다시 끌어오기 위해 후불결제 출시를 앞당기고 있는 상황이다.

카드사 중 가장 먼저 후불결제 서비스를 시작한 현대카드는 상업자표시신용카드(PLCC) 파트너사인 무신사와 함께 '카드 없이 분할결제'를 지난해 7월 오픈했지만 2달 만에 서비스를 임시 중단한 후 현재까지 서비스를 보완 중이다.

롯데카드도 베트남 이커머스 기업인 '티키(Tiki)'와 함께 후불결제 서비스 출시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고 지난해 10월부터 베트남에서 후불결제 서비스를 개시했다.

우리카드 역시 이달 후불결제 기능을 담은 '체크레딧'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체크카드에 신용(소액 신용, 할부, 후불교통) 기능과 선불 결제 기능까지 첨부했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후불결제 서비스 출시를 위해 다날과 업무 제휴에 나섰다. 현재 서비스 준비에 시간이 걸려 당초 계획했던 시기보다 늦어졌지만 올해 상반기 중 관련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신한카드는 대안 정보 기반 신사업 발굴 및 후불결제 등 새로운 형태의 구매 서비스 대상 신용평가 서비스 개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삼성카드는 현재 후불결제 서비스에 대해 시장 현황 등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카드사 관계자는 "다른 빅테크사에 비해 늦었지만 최대한 빠르게 서비스 출시에 나서고 있다"며 "빅테크사가 줄 수 없는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점유율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카드 카드 없이 분할결제. 사진. 현대카드.
현대카드 카드 없이 분할결제. 사진. 현대카드.

연이은 경쟁에 '채무의 늪' 부작용 우려도

카드사들까지 후불결제 경쟁에 참전하면서 부작용에 대한 우려 역시 늘고 있다. 특히 금융 이력이 부족한 MZ세대나 신파일러들을 채무의 늪에 빠트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후불결제는 대부분 가맹점에서 받는 수수료로 수익을 올리는 구조다. 이 수수료가 5~6%대로 신용카드사가 가맹점으로부터 받는 수수료(2~4%)보다 높다.

시장이 활성화되면 카드사는 높은 수익도 기대할 수 있지만 이용자들은 더 많은 빚을 지게 된다. 이는 우리나라에 앞서 해당 서비스를 도입한 미국, 일본, 호주, 싱가포르 등 국가에서도 이미 나타난 문제이기도 하다.

실제 출시 1년째를 맞는 네이버페이의 후불결제 서비스 연체율은 신용카드 연체율의 두 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페이 후불 결제 고객의 지난 3월 연체율(1개월 이상)은 1.26%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신용카드 연체율(0.54%)의 두 배였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후불결제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규제체계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미 상당부분 활성화되있는 해외 후불결제 시장에서도 후불결제 이용자들의 부채 심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판단 아래 선제적으로 대책을 세우고 있다.

미국 소비자금융 보호국(CFPB)은 '후불결제 시장 동향·소비자 영향에 관한 보고서'를 통해 후불결제가 과소비를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으며 싱가포르도 후불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이용자가 결제 기한을 지키지 않을 때 계좌를 정지시키는 등 고객이 과소비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조치했다.

신경희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후불결제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합리적 규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다만 후불결제에 대한 과잉규제가 이뤄지지 않도록 적용 범위 확립을 명확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