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모개러지 설립…설계부터 검증까지 전 과정 자제 수행
엔드투엔드 솔루션 목표로 자율주행·디지털트윈 등 개발…

네모개러지 개소식에 참석한 임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카카오모빌리티.

[데일리임팩트 변윤재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율주행과 디지털 트윈 연구를 위한 연구조직을 정비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플랫폼 기술에서 나아가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와 하드웨어 연구까지 영역을 확대해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내재화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디지털 트윈을 적용, 개발 과정에서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일 방침이다.   

16일 카카오모빌리티는 미래이동체 연구 및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연구소인 네모개러지(NEMO(Next Mobility Garage)가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에 문을 열었다.

네모개러지는 연면적 2734㎡ 규모로 6개층에 자율주행 이동체 연구와 디지털트윈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연구 설비와 인력을 모은 조직이다. 메이커 스페이스, 데이터 스토리지 인프라, 디지털트윈 팩토리, 테스트베드의 4개 영역으로 나눠 서비스 모델에 최적화된 이동체와 인프라 개발을 진행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기존에는 플랫폼 기술 개발과 역량 확보에 주력했기 때문에 자율주행 차량 개발과 센서 검증,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장비 제작이 개별적으로 이뤄졌다“며 “최적화된 이동경험과 라이프 스타일 혁신을 위해서는 이동체, 인프라 등 하드웨어부터 플랫폼까지 엔드투엔드 솔루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조직을 설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3D프린팅팜, 인쇄회로기판(PCB) 프린터, 역설계 스캐너 등을 활용해 프로토타입의 하드웨어와 부품 제작을 제작하고 관련 데이터 솔루션을 솔루션을 개발하는 방식이다. 데이터 기반 서비스와 보안 서비스 개발도 자체적으로 가능하다. 엣지 인프라, 차량 사물간 통신(V2X), 자율주차, 인프라 기반 자율주행·로보틱스 같은 스마트 모빌리티 인프라 기술이 대표적이다. 

자율주행 차량, 지도구축용 맵핑 로봇의 성능 실험, 실내외 복합 측위기술 검증, 센서 캘리브레이션(보정)을 수행할 기반도 마련됐다. 설계부터 프로토타이핑, 검증에 이르는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구개발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 산하 관련팀이 네모개러지에 상주하며 카카오T 플랫폼에 접목할 수 있는 이동체, 특히 목적 기반 모빌리티 차량(PBV),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차량(SDV) 같은 스마트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디지털트윈 기술 개발과 사업 협력도 진행할 방침이다. 

특히 고정밀지도 구축을 위한 MMS 장비인 아르고스를 수요처에 따라 최적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만큼, 디지털트윈 생태계 확대에 속도를 올릴 예정이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플랫폼 기업 최초로 미래모빌리티 기술에 특화된 자율주행디지털트윈 전용 연구소를 확보하게 됐다"며 “미래이동기술과 디지털트윈에 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 기회를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