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투자·대출·채권 등...2020년 대비 29% 늘어
민간금융이 공적금융보다 규모 작지만 증가 속도 빨라
ESG 워싱 우려도.."표준화 된 기준 필요한 시점"

자료. 2022년 한국 ESG금융백서

[데일리임팩트 박민석 기자] 국내 ESG 금융 규모가 지난해 대비 늘었고, 이 같은 상승세를 민간금융기관에서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국내 167개 금융기관 ESG 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 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이하 백서)을 발간했다.

ESG 금융이란 대출, 투자, 채권 등 자금 조달 시 해당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를 평가해 금리나 이자율을 책정하는 상품이다.

2021년 국내 ESG 금융 규모는 786조 9000억원으로 전년도(611조원) 대비 29%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ESG 대출이 340조 원, ESG 투자가 272조 원, ESG 금융상품은 77조 원, ESG 채권발행은 98조 원이다. 

지난해보다 전체적으로 유형별 규모는 15% 이상 늘었으며,  ESG 투자가 74조9000억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 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지난해 ESG 투자 가운데 주식투자에서는 5조9000억원 감소한 반면, 채권투자는 77조7000억원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ESG금융 규모는 여전히 공적금융이 더욱 컸다. 공적금융은 410조9000억원, 민간금융은 360조6000억원이었다. 특히 공적금융에서는 한국주택금융공사와 국민연금 자금이 68%(약 280조4000억원)를 차지했다.

다만 지난해 투자액과 성장률은 민간금융이 더욱 높았다. 공적금융은 56조 원(16%)늘어난 반면 민간금융은 두배 가량 높은 107조 원(42%)으로 나타났다.

석탄화력발전과 취득세 지원이 ESG금융?...표준화된 기준 필요해 

ESG금융 규모가 확장되는 것은 긍정적이나 ESG 워싱 우려도 커지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일부기관에서는 석탄화력발전을 사회발전지원으로, 건물 매입비용 및 취득세 등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금융지원으로 구분해 환경 실적으로 포함시키기도 했다.

백서에서는 ESG 워싱 방지를 위해 △ 녹색분류체계 적용 △사회분류체계 조기 개발과 적용 △ 지속가능금융공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이 중에서도 한국형 사회분류체계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ESG 투자를 제외한 나머지 ESG 금융 유형(대출, 금융상품, 채권발행)에서 사회 관련 금융이 73%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지속가능금융공시도 논의에 착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국내 금융기관은 예·적금, 보험 등을 ESG상품으로 분류하고 있어 펀드 이외 금융상품에 대한 정의 및 공시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ESG에 기반한 투자나 금융상품 선택을 위해 표준화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은 "ESG 워싱 방지를 위한 법과 제도, 정책 구축과 감독기구 설립, ESG공시 표준화와 평가 신뢰성 제고 방안 등 ESG 시장 생태계 구축을 위한 대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역설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