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형 주담대 7%대 후반…연내 ‘연 8%’ 도달 가능성 커져

치솟는 금리에 이자부담 2배 이상 늘어, 취약차주 양산 우려↑

내년에도 금리 인상 불가피, 업계에선 “고정금리 적극 고려해야”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서울 시내 시중은행의 대출 창구.

[데일리임팩트 김병주 기자] 연초부터 지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올해만 가계가 부담해야 할 이자 부담이 150만원 가까이 늘어난 가운데, 내년 초까지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계차주 및 한계 기업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내년 초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10%대에 도달할 수 있다는 섬뜩한 경고가 나오는 상황에서, 이미 1700조원을 넘어선 가계대출이 부실폭탄으로 시장에 투하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일각에서는 3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약해진 국내 가계 및 기업의 기초체력에 이같은 과도한 부채 리스크가 더해질 경우, 우리 경제의 강력한 부실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9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향후 국내 대출 시장에 적잖은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은 지난주 진행된 11월 금통위 직후 이번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의 최종 도달점이 3.5%~3.75%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상 첫 6회 연속 기준금리 인상으로 올해 기준금리가 3.25%에서 마무리된 상황에서 사상 첫 7회 나아가 8회 연속 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진 셈이다.

디자인. 김민영 기자.
디자인. 김민영 기자.

대출금리 연내 9% 찍을까

이번 기준금리 인상으로 일부 대출 상품의 금리 역시 소폭 인상됐다. 실제로 국내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지난 28일 기준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5.314%~7.807%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이달 초(연 5.16%~7.642%) 대비 상‧하단 모두 0.2%p가량 오른 수치다.

이러한 변동형 주담대 금리의 인상은 변동금리의 지표로 활용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지수)의 상승 여파로 해석된다. 이달 중순 발표된 10월 코픽스는 역대 최고 수준인 3.98%를 기록했는데, 이러한 코픽스 수치가 변동금리에 반영되면서 실제 상품 금리도 인상됐다.

일반적으로 예금 금리가 오르면, 늘어난 예금 이자를 부담하기 위해 코픽스 금리가 오른다. 최근 연 5%대를 넘어 6%대를 향해 가고 있는 정기예금 금리의 여파로 코픽스 금리 오름세도 가팔라지면서 변동형 금리를 채택하는 대출 상품의 금리도 같이 인상되고 있다

이밖에 신용대출 및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상승했다. 4대 시중은행의 일반 신용대출 금리(1년)는 연 6.2∼7.55% 수준에 도달했고, 전세자금대출(2년 만기·주택금융공사보증) 금리 또한 연 5.21%∼7.34%를 기록하며 상‧하단 모두 이달 초 대비 평균 0.1%p가량 인상됐다.

이처럼 기준금리 인상의 여파로 상당수 대출 금리가 일제히 오르면서 상단 기준, 연 8%대 진입을 목전에 두게 됐다. 금융업계에서는 빠르면 이달 중, 시중 은행의 대출 금리가 연 8%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내달 중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가 9%대에 도달할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코픽스(COFIX) 지표가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번 기준금리 인상분이 반영된 11월 코픽스가 공개되는 오는 12월 15일 전후로 변동형 금리를 채택한 주담대 및 전세자금 대출 금리가 9%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대출금리가 지금의 인상세를 유지할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진 지난 2008년 이후 14년여 만에 연내 9%대 진입이 예상된다”라며 “여기에 내년 1분기 최종 3.75%까지 기준 금리가 오른다면 대출 금리의 연 10% 시대의 도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자인. 김민영 기자.
디자인. 김민영 기자.

치솟는 금리에 한계차주 등장 ‘위험’

이처럼 금리 인상으로 가계부채 역시 급격히 증가하면서, 올해 국내 경제의 부실 뇌관 중 하나로 분류됐던 ‘가계부채 및 이자 리스크’가 내년에도 더욱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p 오를 때마다 이자 부담은 약 16만4000원 정도 늘어난다.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이 시작된 지난해 8월 이후 지금까지 기준금리가 2.75%p 오른 점을 감안하면, 1년 3개월 사이에 가계대출 차주들의 이자부담은 180만4000원으로 11배나 늘어났다.

문제는 이같은 금리 인상에 따른 원리금 및 이자 상환 부담 증가가 지속될수록 상환능력 자체를 상실한 좀비차주의 양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하기 이전인 지난해 상반기 5억원을 연 4% 금리(30년 만기‧원리금분할상환)로 대출받았을 경우 당시 기준 차주가 부담해야 할 월 원리금은 약 248만원 수준이다.

만약, 올 연내 예상대로 대출 금리가 8%에 도달할 경우, 월 납입금은 약 381만원으로 4% 금리 당시보다 138만 가량 늘어난다. 여기에 내년 1분기에 금리가 연 10%를 찍게 된다면, 월 납입금은 약 455만원으로 처음 대출을 받았을 당시보다 1.5배가량 늘어나게 된다.

만약, 해당 대출을 연봉 6500만원의 직장인이 받았다면 사실상 매월 수령하는 월급의 전부를 대출 상환에 지불해야한다. 특히 소위 ‘영끌’, ‘빚투’ 기조에 영향을 받아 대출을 받은 일반적인 2030세대의 경우에는 사실상 대출 이자조차 상환하기 어려운 상황이 연출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4대 시중은행 사옥. 사진. 각 사.
4대 시중은행 사옥. 사진. 각 사.

고정금리 활용이 ‘유리’

하지만, 당장 한국은행을 포함한 금융당국에서는 이같은 부채 리스크 우려에도 당분간 기준금리 인상을 멈출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무엇보다 5%대를 넘어선 물가상승률을 금융‧경제 당국의 목표치인 2%대로 낮추기 위해서는 다소 출혈을 감수하더라도 금리인상을 멈출 수 없다는 것이 한국은행을 포함한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이런 까닭에 금융업계에서는 당장 부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준금리 지표가 반영되는 변동금리보다는 약정 기간 중 금리가 유지되는 고정금리 상품의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

실제로, 고정금리 상품의 경우, 지난주 단행된 기준금리 인상에도 비교적 안정적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 다음 날인 지난 25일 기준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5.02%~7.05% 수준을 보이며 전일(5.03~7.04%) 수준과 거의 유사했다. 일반 신용대출 금리 역시 상단 기준 7.483%로, 7.482%를 기록한 하루 전 금리와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고정형 주담대와 신용대출은 기준금리보다는 은행채 금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최근 은행채 발행 자제, 유동성 공급에 따른 채권시장의 안정화로 은행채 금리가 다소 내려가면서 고정형 주담대와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오히려 인상 없이 안정세를 유지했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올해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채권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와 금융업계 차원의 유동성 공급이 지속적으로 예정돼 있는 데다, 은행채 발행도 연말까지 불가피한 상황을 제외하면 중단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데일리임팩트에 “통상적으로 기준금리가 오르면 채권금리도 일정부분 인상돼왔는데 이번 달의 상황은 이전과 조금 다른 양상”이라며 “과도하게 오른 은행채 금리가 이번 안정화 정책으로 일정부분 내려갈 가능성도 높은 만큼 고정형 금리의 급격한 인상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