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식 (주)포브크리에이트 ESG 센터장
김현식 (주)포브크리에이트 ESG 센터장

[데일리임팩트 전문가 칼럼= 김현식 포브크리에이트 ESG센터장]

ESG가 요즘 화두다. 하루가 멀다하고 우리 기업들의 새로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소식이 들려온다. 기업에 대한 ESG 평가 결과가 발표되고, ESG 위원회 출범 소식이 들리고, ESG 캠페인 광고가 미디어에서 흘러나온다.

지금 전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 및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 문제, 그리고 거의 2년간 우리 모두의 일상을 파괴하고 있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등을 감안할 때 기업이 사회-환경문제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ESG경영은 반가운 소식임에 틀림없다.

다만, 기업들의 ESG경영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간과해서는 안될 대목이 있다. 바로 기업의 ‘조직문화’다. ESG경영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관점에서 기업을 둘러싼 이해관계자들의 기대사항을 충족하는 경영을 함으로써, 기업의 미래가치(비재무 성과)를 제고하자는 경영활동이다.

그렇다면 이같은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바로 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임직원들이다. 그들이 매일 출근해 수행하는 각각의 업무가 모여 해당 기업의 ESG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런 관점에서 행여 일부 기업이 외부에 보여지는 ESG 활동만을 챙기고 있지는 않는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아울러 경영자나 ESG 전담 부서에서만 이를 열심히 실행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야 한다. 

우리 기업들은 대부분 MZ세대 이슈, 근로시간 단축 문제, 괴롭힘 예방 등 HR 고유의 과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HR의 고민과 과제를 ESG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바라보고 해결하는 새로운 조직문화도 필요하다.

ESG 경영의 정착과 HR과제의 해결을 위한 방향으로 제안하고 싶은 것이 ‘원칙 중심의 조직운영’과 ‘가치 중심의 일터문화’이다. 이를 위해 핵심적으로 3가지의 실행 과제를 기업에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조직의 ‘리더’가 국제적인 노동-인권 기준 및 기업의 핵심가치를 준수하면서 조직을 운영해야 한다.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사건들을 살펴보면, 결국 해당 기업에서 정한 기준과 절차가 무시되고 작동되지 않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또한 리더들의 안일한 인식과 행동이 조직내의 '깨진 유리창'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기에 리더들의 행동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둘째, 임직원들이 매일 수행하는 직무 과정에서 사회 환경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기업 내에서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반드시 필요하다. 불필요하고 부가가치 없는 일을 제거하고, 보다 편하고 효율적으로 일하도록 하는 혁신을 통해 ESG 성과 창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여유도 확보하고,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인한 기업의 생산성 저하 문제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임직원들의 몰입과 ESG 성과 창출을 위한 새로운 관점의 동기부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미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개인의 기대수명이 늘어난 만큼 이전 세대보다 더 오랫동안 경제활동을 해야만 하는 환경으로 이미 바뀌었다.

평생직장을 넘어 평생 직업을 개개인들이 추구하고 있고, 개인의 행복한 인생 및 워라밸에 대한 임직원의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이제는 더 이상 “회사를 위해서 열심히 일하라”는 명제는 성립될 수 없다.

지금은 “개인의 행복을 위해 열심히 현재 직장에서 역량을 개발하고 성과를 창출하라”는 메시지가 필요한 시대다. 아울러 이러한 관점에서 기업은 임직원들의 ‘생애경력 개발’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지원해야 한다. 그것이 초고령사회의 기업 임직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이며, 이를 바탕으로 ESG 성과 창출에 몰입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기업 활동의 중심은 바로 '임직원’이다. ESG경영 과정에서도 기업 임직원의 만족감 제고와 가치 실현을 가능케 하는 조직문화의 혁신은 그야말로 중요하다. 이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과제다. 

키워드

#ESG #조직문화
저작권자 © 데일리임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